나의 이야기/일상속의 아름다움

동백꽃 지는 선운사의 봄

아브라함-la 2021. 4. 20. 23:36

             백제의 위덕왕이

             신라의 진흥왕의 시주로 지었었다는

             천년고찰 선운사 뒤뜰 산기슭에는 

             천연기념물 제184호로 지정된

             수령 오백 년의 동백나무 3천 그루쯤이

             늘 푸른 동백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선운사 동백을 두고

         저 서정주는 이렇게 읊었습니다.

 

        "선운사 골짜기로

         선운사 동백꽃 보러 갔더니

         동백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시방도 남았습니다.

         그것도 목이 쉬어 남았습니다."

 

           서정주의 이 "선운사 동구"는

           선운사를 사람들에게

           꼭 한 번 들르고 싶은 곳이 되게 했습니다. 

           섬진강 시인 천용택이 화답하여 

           "선운사 동백꽃"을 썼고 

           가수 송창식도 그의 노래 "선운사"에서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바람 불어 설운 날에 말이에요" 

            고 재치 있게 불렀으니요. 

    

     저도 그랬습니다. 

     뿌리 깊은 나무가 발행한
    "한국의 발견 한반도와 한국사람"

     전라북도 편에서 

     이 선운사의 동백꽃을 두고

     서정주가 노래한 선운사 동구 시비가 

     이 사찰 들목에 서있음을 알았습니다. 

     선운사 동백꽃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이를 두고 시를 쓸 정도였는지

     그 유명한 동백꽃이 꼭 한번 보고 싶었던 겁니다. 

 

     팔십년대 말 오월에 경노 행사로

     교회 노인들을 모시고

     처음 선운사를 찾았을 때 

     제일 먼저 이 서정주의 시비를 찾았습니다. 

     지금은 사찰 입구에 공원을 조성해서

     좀 번잡하기도 하지만 

     그때는 아주 고즈넉했습니다.

     신록이 우거지는 도솔천 선운사 고랑에는 

     바람이 불 때마다 더덕향이 가득했으니요.  

     선운사 들목에서 다리를 건느지 않고

     고창 쪽으로 나가는 길은 

     그냥 농로에 불과해서 차가 빠질까 

     조바심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그 후로 여러 번 이 선운사를 다녔습니다. 

     초가을에 만개하는 꽃무릇과

     가을 단풍에 반해서입니다. 

     그러나 정작 선운사 동백꽃은

     오늘에 이르도록

     제겐 그림의 떡이었습니다. 

     이 선운사 동백은 여타의 동백과 달리

     개화기가 사순절과 고난주간인

     3월 말에서 4월 초순이므로 

     일정이 도무지 맞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선운사 동백꽃을 이 봄에 드디어 찾았습니다. 

     고창 학원농장의 보리밭을 보고는 

     설레는 마음으로 선운사로 달려왔건만 

     동백은 이미 철 지나 겨우 끝물이 남았는데

     그것마저 성한 것들은 얼마 되지 않고

     땅에 떨어진 동백꽃은 퇴색하여 마르는

     흉한 꼴을 하고 있었지요. 

 

      동백은 세 번 핀다지요.

      한 번은 허공의 동백 가지에서 붉게 피고

      한 번은 땅 위에서 땅보다 붉게 피어나고

      한 번은 그걸 보는 이의 눈동자와 가슴에서 

      붉게 붉게 핀답니다. 

      저는 가지의 동백도 보고 싶었지만

      땅에서 핀 동백을 더 보고 싶어 했는데 

      저렇게 참담한 꼴을 보고야 말았습니다. 

 

        "진실한 사랑"

        "누구보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라는 꽃말의 질푸른 잎에 빨간 동백꽃!

         이 동백이 그 붉은빛이 한창일 때 

         모가지째 뚝 뚝 떨어져 

         땅 위에서는 하늘을 향하여

         피보다 붉게 피어나는 동백,

         오르지 그 한 분을 사랑하여 

         끓는 피를 바친 순교자의 표상이지요.

         전 땅에서 하늘을 향하여 빨갛게 피는  

         이 동백꽃을 두고 

         동백꽃 같은 순교자를 노래하고 싶어

         그토록 선운사 동백을 

         꼭 한 번 보고자 했던 겁니다.   

 

  

     미당이 너무 일러 선운사 동백꽃을 볼 수 없었다면

     시인이고 싶은 전 너무 늦어

     선운사 동백꽃의 진면목을 보지 못했으니

     그와 난 피장파장인 셈입니다.

     지난겨울의 기록적인 한파 때문인지 

     푸름을 잃고 붉은 빛을 한 동백잎과

     불에 덴 듯 한 동백꽃이

     피지 못한 사람을 보는 양 안쓰러웠습니다. 

     그래도 건강을 잃지 않은 푸른 동백숲은 좋았습니다.

   

     이래저래 아쉬움이 남아서

     서정주의 "선운사 동구"를 차용해서 

     이렇게 읊어보았습니다.

 

     선운사 골짜기로 

     미당이 읊은 동백꽃 보러 천리길 왔건만 
     동백은 철 지나 떨어져 말랐고

     끝물로 겨우 남은 것만

     꽃보려던 내 소원 인양

     시지 않고 남았습니다.

     오백 년 수령에 푸른빛 잃지 않는

     저 동백 숲처럼

     늙지 않는 서정만 

     푸르게 푸르게 남았습니다. 

    

     그날 선운사 동백꽃은 제게 '희망과 소원은 언제나

     현실보다 아름답다'는 걸 새삼 절감케 했지만

     선운사 고랑의 고목 숲에 오르는 초록빛이

     이 서운한 마음을 충분이 보상해 주고도 남았습니다. 

    

       연둣빛이 숲을 물들여가고 

       연두로 물든 숲은 흐르는 물에 초록물을 드리고

       은빛으로 빛나는 여울에 초록이 비췬 시내 물은   

       내 마음을 연두로 물 드렸습니다. 

        

        전에 어머님을 모시고 이곳에 왔을 적에

        좋아하지 않던 아들 녀석마저

        이 초록으로 물드는 숲길은 좋았는지

        이곳이 좋다고 했습니다. 

        가을 단풍이 곱고 화려해서 좋다면 

        이곳의 봄의 신록은 싱그럽고

        향기로와서 좋았습니다.   

        

        연두로 마음까지 물들여 가는 

        향긋한 숲길을 걸어 나와

        다리 건너 절 초입에 남은 동백꽃과

        푸른 꽃무릇 잎 위에서 시들어가는

        동백꽃과 이별했습니다.  

        그리고 서정주의 시비 앞에 서서

        조용히 "선운사 동구"를 읊조리고는

        아는 체하며 아들에게 미당이

        이 시를 쓴 내력을 말해주고는 

        한 바탕 웃고 공원을 나와서

        유명한 풍천장어집에서 저녁을 하곤

        동백꽃 지는 선운사에서

        제 육십 대의 마지막 봄을 여의고 왔습니다.

 

         이제 제 남은 나그네 길이

         얼마일지는 모르지만

         제 주인께서 저의 노년의 삶과 신앙을 

         떨어져도 기품 있는 동백꽃 같게 하시기를

         기도하는 마음 간절했습니다. 

         그날 동백꽃 지는 선운사에서 

         저는 제 남은 나그네 길을 어찌 가야 할지 

         그 노년의 인생을 보고 온 셈입니다. 

           

        선운사 들목에서 

        어둑어둑 지는 빛에 출발해서

        집에 도착하니 밤 열 시가 조금 넘고 있었습니다.

        아! 참 길 좋아졌습니다.  

 

   

'나의 이야기 > 일상속의 아름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 질 녘 유월의 숲  (0) 2022.06.27
우리 교회 능소화를 보며  (0) 2021.07.16
보리밭의 향수를 찾아  (0) 2021.04.19
신선의 섬 선유도에서 봄을 맞다  (0) 2021.03.16
송계의 늦가을  (0) 2016.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