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행/길에서 줍는 진주

천폭협에서 사대강을 보다

아브라함-la 2012. 6. 16. 11:17

 


중국을 여행할 때마다 놀라는 것 중의 하나가 놀라운 비경을 관광지와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는 능력입니다. 저 유명한 장가계니 황산의 신비에 가까운 절경은 그 자체로는 사람의 접근이 어렵게 험준하기가 이를 데 없지만 이 절경이 세계적인 관광지가 된 것은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게 개발하되 자연과 인공을 교묘히 조화 시켰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그 자연을 무대로 하여 장대한 퍼포먼스까지 합니다. 이것은 중국인의 예술성과 상술의 탈월성을 동시에 보여 주는 것입니다.

 

 


  - 홍석협의 백미와 같은 곳, 보를 막아 만든 작은 폭포, 그리고 주변의 암벽의 색과 동일한 색조로 만든 다리와 암벽을 파서 만든 탐방로가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미학적이 되게 하고 있다. 자연과 인공이 얼마나 멋진 조화를  이룰 수 있는가를 실증하는 듯하다.-

 


이번 다녀온 운대산 역시 그랬습니다. 운대산의 홍석협은 자연과 인공이 이렇게 조화를 이룰 수가 있다는 사실을 실감나게 하는 곳이었습니다. 해서 중국당국은 이곳을 “과학적 가치와 미학 가치를 융합한 과학보급관광 정품 관광구”라고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방호 상류의 담폭협과 천폭협은 자연에 인공을 가미하는 것의 위험성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었습니다. 운대 천폭까지 3키로 정도의 협곡은 계곡의 양옆으로 하늘을 찌르는 암벽들과 곳곳에 작은 폭포를 흘리고 소를 이루며 계곡을 흐르는 옥수로 절경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 이 폭포는 자연일까? 인공일까! 

                      이 폭포 위의 더 큰 폭포가 인공임을 보아 인공일 가능성이 ,,,,,,,-

 

 

           - 이 폭포를  누가 인공이라고 상상이나 할까? 

            그러나  더 위로 오르다 보면 자방호의 물을 이용한 인공폭포임을 알게 됨 -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며 이 계곡의 초입에 들어서다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계곡을 흐르는 물이 기대와 다르게 깨끗하지 못했습니다. 부유물질이 떠오르고 물이 오염된 것 같이 보였습니다. 이점이 참 의아했습니다. 심산유곡에 오염원이 있을 리 만무했기 때문입니다. 의아한 생각을 가지고 계곡을 오르다 눈에 들어온 것이 있었습니다. 아름답게 소를 이룬 곳들은 인공으로 보를 쌓아 더 큰 소를 이루게 한 거였습니다. 천폭 아래의 유담에 이르러서 이 아름다운 계곡의 물이 왜 오염되었는지를 분명히 볼 수가가  있었습니다.

 

 



그건 소를 만들기 위하여 보를 쌓았을 뿐만 아니라 바닥을 준설했고 콘크리트 둑을 만들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유담의 바닥을 자세히 살펴보니 준설된 바닥은 허여케 물 딱지가 덮여 있고 여기저기서 기포와 함께 그 부패한 물질이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내려오면서 살펴보니 이 현상은 하류로 내려 올 수 록 심해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놀란 것은 그 계곡의 수량이 풍족하고 또 흐르는 계곡임에도 계곡의 바닥은 생명을 잃었고 그래서 물이 오염되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 천폭협의 한 구간  보를 막고 다리를 놓아 멋진 풍경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물이 왠지 깨끗해 보이지 않는다. -

중국당국은 소를 만들고 여기 저기 흐르는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 인공 폭포를 만들어 수려한 계곡을 더 신비하게 만드는 데는 성공했지만 계곡과 물은 건강을 잃게 만든 겁니다. 저는 다리에 앉아서 그 오염된 바닥을 들여다 보다 우리의 사대강을 생각했습니다. 우리 사대강이 이 천폭협과 같이 되면 어쩌나 더럭 겁이 났습니다. 사대강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은데 정부는 사대강에 대한 걱정의 소리에 방어에 급급한 자세를 보일 것이 아니라 문제를 제기 하는 이들과 진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행여 라도 우리의 사대강에 천폭협과 같은 결과 일어난 다면 이는 민족전체에 대한 재앙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 천폭 바로 밑의 유담 , 보를 막고 바닥을 준설하고 세멘트로 둑을 만들었다.

       사진상으로로도  계곡 바닥이 흰색으로 덮여 오염되어 있음이  여실히 보인다.-

 


근대화와 개발시대를 지내온 우리는 개발은 좋다는 환상에 젖은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존보다는 개발에 더 가치를 부여하려고 합니다. 심지어 이것의 위험성을 감수하려고만 합니다. 보존 보다 개발로 오는 경제적 가치와 이익에 더 민감합니다. 그래서 비판을 사시로 보는 경향이 농후하고 이것이 환경파괴로 직결되어 우리의 자연환경은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습니다.

 

 

                                                                

                                                 -  천폭  가뭄이 심해서 수량이 적다. -

그래서 저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창조질서보존에 대한 새로운 각성이 필요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그리스도인은 물질적인 가치나 자기 이익보다 영적인 가치와 세상의 행복을 섬기는 종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심 없이 자연 환경을 보존하고 회복할 사람은 그리스도인들이라고 믿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존 스토트도 그의 마지막 저서 “제자도”의 마지막 항목으로 창조질서 보전을 제자도 라고 규정했습니다.

 

                                        - 운무에 더욱 신비감을 더하는 운대산의 한 봉우리 -

                   

그렇습니다. 주님의 제자는 살리는 사람이며 하나님의 청기기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주신 창조세계를 지키고 보존하는데 앞장 서야 합니다. 우리는 자기 이익을 따르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 사심 없이 자유롭게 자연질서 보전에 나서야한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아주 작은 것- 쓰레기 분리수거 같은 것- 을 지키는 데서 시작되며 이루어진다는 걸 기억합시다.

자연과 생명에 대한 외경감을 회복하는 것에 현대 세계의 미래가 달렸다는 것이 이번 여행으로 제게 주신 주님의 메시지입니다. 여행은 이렇게 삶과 현실을 관조하고 거기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게 하는 좋은 창조적 수단이자 기회입니다. 이것이 돈들이고 시간 들여서 여행하는 이유가 아니겠습니까?